임진왜란 김시민 장군 활약상 > History

Go to Body
All Search in Site

Member Login

Count Vister

Today
940
Yesterday
1,226
Maximum
2,319
All
207,442

History

임진왜란 김시민 장군 활약상

Page Info

Writer AndyKim Hit 37 Hits Date 25-07-07 22:46
Comment 0 Comments

Content

### 김시민(金時敏, 1554 – 1593) ― “진주대첩의 주역”

| 연도                          | 주요 이력                                      | 설명                                                                                                                        |
| --------------------------- | ------------------------------------------ | ------------------------------------------------------------------------------------------------------------------------- |
| **1554**                    | 충청도 목천 출생                                  | 고려 명장 김방경의 13대손 ([ko.wikipedia.org][1])                                                                                  |
| **1578**                    | 무과 급제 → 군기시(훈련·무기 담당) 관직 시작                | 평시에도 ‘실전 훈련’의 필요성을 조정에 건의해 눈에 띔 ([en.wikipedia.org][2])                                                                  |
| **1591**                    | 진주판관(防守) 부임                                | 진주성 성벽·화기 보강, 화승총(아케부스) 170정 자체 조달·훈련 ([en.wikipedia.org][3])                                                            |
| **1592.10**                | **제1차 진주성 전투** 지휘                          | 병력 3,800으로 20 \~ 30 천 명 왜군 방어, 7일 공방 끝 대승(진주대첩) → 한산·행주와 함께 ‘임진 3대첩’ ([contents.history.go.kr][4], [en.wikipedia.org][3]) |
| **1592.10 – 12**            |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승진                              | 사천·고성·금산에서 연전연승, 의병·수군과 협공 지휘 ([en.wikipedia.org][2])                                                                    |
| **1592.12.26(양 1593.1.28)** | **전상 후유증으로 순절**                            | 진주대첩 때 입은 탄환 상처가 악화—향년 39세 ([encykorea.aks.ac.kr][5])                                                                    |
| 이후                          | 시호 ‘**충무(忠武)**’, 1792년 충무공 사당 건립·진주성 동상 세움 | 오늘까지 경남 최대 호국 인물로 추앙                                                                                                      |

---

#### 왜 ‘진주대첩’이 결정적이었나?

* **전략 요충** : 진주를 빼앗기면 왜군은 곽재우의 의병 거점과 전라도 곡창으로 진출할 길을 확보.
* **화승총 역공** : 일본과 동급 화기 170정을 집중 운용, 성벽 상단에 *교차 사격 구역*을 구성해 공성 사다리를 무력화.
* **민·관·의병 한몸 전투** : 성안 백성·기녀까지 돌, 뜨거운 기름을 전달—장기전에 필요한 ‘인력 탄약’ 문제를 해결.
* **심리 효과** : “보급로 따라 파죽지세”이던 왜군이 처음으로 육지 요새에서 참패, 후방 일본군 사기 급강하.

---

#### 전술·리더십 포인트

1. **사전 준비형 장수** – 부임 직후 성벽 개보수·화기 확보·병사 사격 훈련 완료.
2. **정보 활용** – 적 화약·사다리 길이 파악 후 성벽 일부를 증축해 등정 각도를 무력화.
3. **협업 지휘** – 진주성 내부군·주변 의병·수군 연락선을 ‘북채 봉화’로 실시간 공유.
4. **무관·유생 융합** – 성 안 유생들을 **저격수·통신병**으로 편제, 병력 부족을 보완.

---

#### 사후·현대 기억

* **문화재** : 진주성 내 *충무공 김시민 장군 동상·사당*
* **기념일** : 매년 10월 ‘진주 남강 유등축제’ 기간에 **진주대첩 재현행사** 거행.
* **훈격** : 1973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지방 전투 하나로 전쟁 판도를 바꾼 공로 재평가.
* **대중문화** : 영화·만화 *《불멸의 장군 김시민》*, 게임 속 ‘충무공 스킨’ 등으로 재현.

---

### 한 줄 정리

**김시민**은 “적보다 앞서 준비하고, 끝까지 버텨 물길을 바꾼 지휘관”이었다.
3,800 vs 20,000의 진주대첩 승리는 임진왜란 전선에 결정적 숨통을 틔워 주며, 오늘날까지 ‘지방의 작은 성이 나라를 구한’ 상징적 승전으로 남아 있다.

[1]: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B%9C%EB%AF%BC?utm_source=chatgpt.com "김시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 https://en.wikipedia.org/wiki/Kim_Simin "Kim Simin - Wikipedia"
[3]: https://en.wikipedia.org/wiki/Siege_of_Jinju_%281592%29?utm_source=chatgpt.com "Siege of Jinju (1592) - Wikipedia"
[4]: https://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code=kc_age_30&levelId=kc_n301900&utm_source=chatgpt.com "김시민 1554 ~ 1592 - 우리역사넷"
[5]: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58?utm_source=chatgpt.com "김시민(金時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List of comments

No comments

Copyright © SaSaSak.net All rights reserved.